맨위로가기

유엔 총회 옵서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총회 옵서버는 유엔 회원국이 아닌 국가 또는 단체가 유엔 총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지위이다. 2023년 현재 바티칸 시국과 팔레스타인이 옵서버 국가이며, 과거에는 대한민국, 스위스, 독일 등 16개 국가가 옵서버 지위를 가졌다. 또한 유럽 연합, 아프리카 연합 등 다양한 정부 간 기구와 비정부 기구도 옵서버로 참여하고 있다. 옵서버는 총회 회의에 참여하고 관련 의제에 대해 발언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총회 - 유엔 글로벌 콤팩트
    유엔 글로벌 콤팩트는 기업과 단체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도록 유엔에서 제시하는 협약으로,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분야의 10대 원칙을 제시하고 ESG 개념의 등장에 기여하며 전 세계 2만 개 이상의 기업 및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 유엔 총회 - 유엔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
    유엔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는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CTBT)의 이행을 감시하는 국제 기구로서, 국제 감시 체제 구축 및 운영, 데이터 분석 및 공유, 현장 사찰 등의 검증 체제를 통해 조약 준수를 감시하고, 사무국과 총회로 구성되어 운영되며, 핵실험 감지 데이터는 재해 경감 및 조기 경보 시스템에도 활용된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유엔 총회 옵서버
개요
정의국제 연합 총회의 옵서버는 국제 연합 회원국은 아니지만 총회에 옵서버로 초청된 국가, 국제 기구 또는 기타 단체를 말한다.
지위옵서버는 총회 회의에 참가할 수 있지만, 투표권은 없다.
권한옵서버는 발언권이 있으며, 제안서를 제출할 수도 있다.
옵서버 자격
부여 주체국제 연합 총회
부여 방식총회 결의를 통해 부여
주요 대상비회원국
국제 기구
기타 단체
옵서버의 역할
총회 참여총회 회의에 참가하여 발언 가능
의견 개진총회 의제에 대한 의견 제시 가능
투표권 제한투표권은 없음
옵서버의 종류
국가바티칸 시국, 팔레스타인
국제 기구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이주 기구
기타 단체주권 군사령부 몰타 기사단
옵서버 목록 (국가)
바티칸 시국1964년 옵서버 자격 획득
팔레스타인1974년 옵서버 자격 획득
옵서버 목록 (국제 기구)
국제 적십자 위원회1990년 옵서버 자격 획득
국제 이주 기구1992년 옵서버 자격 획득
옵서버 목록 (기타 단체)
주권 군사령부 몰타 기사단1994년 옵서버 자격 획득

2. 옵서버 국가

유엔 총회는 정회원 자격이 없는 비회원 국가도 유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옵서버(observer, 참관인) 자격을 부여한다. 옵서버는 비회원 국가 옵서버와 비회원 단체 옵서버로 나뉜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정회원 가입이 어려운 국가들이 주로 옵서버 지위를 수락하며, 이는 총회에서만 결정된다.

스위스처럼 중립 유지를 위해 정회원 대신 옵서버 지위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유엔 총회 회의장에서 비회원 옵서버 국가는 유엔 회원국 바로 뒤, 다른 옵서버 앞에 자리하며, 2015년부터는 유엔기에 이들 국가의 국기도 함께 게양된다.[11]

현재 옵서버 국가는 바티칸 시국팔레스타인이며, 과거 옵서버 국가는 총 16개국이었다. 이 중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14개국은 유엔 회원국이 되었고, 남베트남, 북베트남은 소멸하거나 통일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2. 1. 현재 옵서버 국가

현재 유엔 총회 옵서버 국가는 바티칸 시국팔레스타인 두 곳이다.

국가옵서버 지위 부여 날짜
바티칸 시국1964년 4월 6일
팔레스타인2012년 11월 29일



성좌는 1964년에,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는 2012년에 옵서버 국가 지위를 획득했다. 성좌는 종교적 특성상 유엔 회원국 가입 대신 옵서버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라는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옵서버 국가 지위를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지위 향상을 꾀하고 있다. 특히 팔레스타인의 옵서버 국가 지위 격상은 팔레스타인 194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스라엘과의 관계에서 팔레스타인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였다.

유엔 총회는 정회원이 아닌 국가나 단체에게도 옵서버 자격을 부여하여 유엔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옵서버 지위는 총회에서 결정되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의 거부권 행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스위스와 같이 중립 유지를 위해 정회원 대신 옵서버 지위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2. 1. 1. 바티칸 시국

성좌1964년 4월 6일에 유엔 상주 옵서버 지위를 부여받았다.[65] 2004년 7월 1일에는 투표권을 제외한 유엔 가맹국이 갖는 모든 권리를 인정받았다.[66] 성좌는 바티칸 시국의 주권을 가진 실체로서, 다른 국제 연합 가맹국과 마찬가지로 인정받으며, 진정서를 제출하거나 국제 연합 총회에 참가하여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 허용된다.

2. 1. 2.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1974년 11월 22일에 유엔 총회 옵서버 단체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1988년 12월 15일부터는 "팔레스타인"(Palestine)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4][16] 1998년 7월 7일에는 유엔 총회의 토론 과정에 참여할 권한을 부여받았다.[17] 2012년 11월 29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는 영토의 많은 부분에 주권을 행사하게 되면서 유엔 총회 옵서버 국가로 인정되었다.[5]

2012년 팔레스타인의 옵서버 지위가 "비회원 옵서버 실체"에서 "비회원 옵서버 국가"로 변경된 것은 팔레스타인 194 캠페인의 일환이었다.[5] 이는 이스라엘과의 관계에서 팔레스타인에게 추가적인 지렛대를 제공하기 위해 2011년에 팔레스타인이 유엔 정회원 가입을 신청한 후에 이루어졌지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투표에 부쳐지지는 않았다.[6][7][8] 지위 변경에 따라 유엔 사무국은 팔레스타인이 유엔 사무총장이 기탁자인 조약의 당사자가 될 자격이 있다고 판단했다.[9] 2012년 12월 17일, 유엔 의전장 윤여철은 "사무국은 모든 공식 유엔 문서에서 '팔레스타인 국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고 선언했다.[10]

2018년 10월 16일, 팔레스타인이 2019년 77개 그룹 의장을 맡는 동안 임시로 추가 권한이 부여되었다.[20] 2024년 5월 10일에는 회원국과 함께 좌석을 배정받고, 제안 및 의제 항목을 제출하고, 위원회에 참여할 권리를 포함한 추가 권리가 부여되었지만, 투표권은 없었다.[21]

연도내용
1974년 10월 14일유엔 총회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를 팔레스타인 국민의 대표로 인정하고, 총회 본회의에서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심의에 참여할 권리를 부여함 (A/RES/3210 (XXIX))[13]
1974년 11월 22일PLO에 비국가 옵서버 지위 부여 (A/RES/3237 (XXIX))[14]
1988년 12월 9일중개자 없이 통신을 배포할 권리 부여 (A/RES/43/160)[15]
1988년 12월 15일명칭을 "팔레스타인"으로 변경 (A/RES/43/177)[16]
1998년 7월 7일일반 토론에 참여할 권리를 포함한 추가 권리 부여 (A/RES/52/250)[17]
2012년 11월 29일지위를 비회원 옵서버 국가로 변경 (A/RES/67/19)[18][19]
2018년 10월 16일팔레스타인이 2019년 77개 그룹 의장을 맡는 동안 임시로 추가 권한 부여 (A/RES/73/5)[20]
2024년 5월 10일회원국과 함께 좌석을 배정받고, 제안 및 의제 항목을 제출하고, 위원회에 참여할 권리를 포함한 추가 권리 부여, 단 투표권은 없음 (A/ES-10/23)[21]


2. 2. 과거 옵서버 국가

과거에 유엔 총회 옵서버였던 국가는 총 16개국이다.[38][39] 이들 국가 중 14개국은 결국 유엔 회원국이 되었으며, 나머지 두 국가는 특별한 경우이다.

이전 비회원 옵서버 국가의 대부분은 회원 가입을 신청했지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 1개국 이상의 거부권 행사(실제 또는 위협)로 인해 회원 자격을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거부권은 이후 지정학적 상황의 변화나, 1955년에 12개 국가, 1973년에 동독과 서독의 경우와 같이 안전 보장 이사회가 동시에 여러 신규 회원국을 승인하는 "패키지 딜"을 통해 극복되었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1949년 대한민국이 먼저 옵서버 자격을 획득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3년에 옵서버가 되었다. 두 국가 모두 1991년에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여 정회원국이 되었다.

1975년 북베트남군에 의해 점령된 남베트남은 1976년 7월 2일 북베트남과 현대 베트남을 형성하기 위해 통일되었으며, 1976년에 옵서버 자격이 부여되었다. 베트남은 1977년 9월 20일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40]

국가옵서버 자격 부여정회원 가입기간
대한민국1949년1991년4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73년1991년18년
서독1952년1973년21년
동독1972년1973년1년
남베트남1952년1975년 (국가 소멸)24년
북베트남1975년1976년 (베트남으로 통일)1년
베트남1976년1977년1년
모나코1956년1993년37년
방글라데시1973년1974년1년
스위스1946년2002년56년
스페인1955년1955년0년
오스트리아1952년1955년3년
이탈리아1952년1955년3년
일본1952년1956년4년
쿠웨이트1962년1963년1년
핀란드1952년1955년3년


2. 2. 1. 대한민국

1949년 대한민국은 유엔 총회 옵서버 자격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분단 상황과 냉전 시대의 국제 정세 속에서 오랫동안 정회원 가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1991년 남북한이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면서, 대한민국은 42년 만에 유엔 정회원국이 되었다. 이는 한반도 평화와 국제사회에서의 대한민국의 지위 향상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국명자격 부여 연도자격 소멸 연도기간
대한민국1949년1991년 (유엔 가맹국 승격)42년


2. 2.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3년에 유엔 총회 옵서버 자격을 얻었으며, 1991년에 유엔 정회원국이 되었다.[69] 이는 대한민국과 동시에 유엔에 가입한 사례로, 남북한 모두에게 중요한 외교적 사건이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옵서버 자격 취득 후 18년 만에 정회원국이 되었다.[69]

국명자격 부여 연도자격 소멸 연도기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73년1991년 (유엔 가맹국 승격)18년


2. 2. 3. 기타 국가

국가옵서버정회원걸린 시간
대한민국1949년1991년4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73년1991년18년
서독1952년1973년21년
동독1972년1973년1년
남베트남1952년없음 (1975년에 소멸)24년
북베트남1975년없음 (1976년에 소멸)1년
베트남1976년1977년1년
모나코1956년1993년37년
방글라데시1973년1974년1년
스위스1946년2002년56년
스페인1955년1955년0년
오스트리아1952년1955년3년
이탈리아1952년1955년3년
일본1952년1956년4년
쿠웨이트1962년1963년1년
핀란드1952년1955년3년


3. 옵서버 단체 및 국제기구

유엔 총회에는 다양한 단체와 국제기구들이 옵서버 자격으로 참여한다. 이들 중 일부는 뉴욕 시에 있는 유엔 본부에 상설 사무소를 두고 있다.[41]

기구 또는 실체옵서버 지위 부여일
아시아 아프리카 법률 자문 기구(AALCO)1980년 10월 13일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1987년 10월 28일
아프리카 연합(AU)1965년 10월 11일
아프리카 카리브해 태평양 국가(ACP)1981년 10월 15일
아시아 개발 은행(ADB)2002년 11월 19일
카리브 국가 연합(ACS)1998년 10월 15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2006년 12월 4일
안데스 공동체(CAN)1997년 10월 22일
카리브 공동체(CARICOM)1991년 10월 15일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2001년 12월 12일
1차 산품 공통 기금(CFC)2005년 11월 23일
유럽 원자핵 연구 기구(CERN)2012년 12월 14일
아시아 상호 협력 신뢰 구축 회의(CICA)2007년 12월 6일
독립 국가 연합(CIS)1994년 4월 24일
유럽 평의회(COE)1989년 10월 17일
인도양 위원회(COI)2006년 12월 4일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CPLP)1999년 10월 26일
집단 안보 조약 사무국(CSTO)2004년 12월 2일
동아프리카 공동체(EAC)2003년 12월 9일
유라시아 경제 연합(EAEU)2003년 12월 9일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CAS)2000년 12월 12일
경제 협력 기구(ECO)1993년 10월 13일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2004년 12월 2일
유라시아 개발 은행(EDB)2007년 12월 6일
걸프 협력 회의(GCC)2007년 12월 6일
글로벌 녹색 성장 연구소(GGGI)2013년 8월 16일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기구 GUAM(GUAM)2003년 12월 9일
헤이그 국제 사법 회의(HCCH)2005년 11월 23일
국제 형사 재판소(ICC)2004년 9월 13일
국제 상업 회의소(ICC)2016년 12월 21일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 국제 회의(ICGLR)2009년 12월 16일
이민 정책 개발 국제 센터(ICMPD)2002년 11월 19일
국제 형사 경찰 기구(ICPO)1996년 10월 15일
적십자 국제 위원회(ICRC)1990년 10월 16일
미주 개발 은행(IDB)2000년 12월 12일
국제 개발 법 기구(IDLO)2001년 12월 12일
국제 적십자사 적신월사 연맹(IFRC)1994년 10월 19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2009년 10월 20일
국제 이주 기구(IOM)1992년 10월 16일
국제 의회 연맹(IPU)2002년 11월 19일
이슬람 협력 기구(OCI)1975년 10월 10일
국제 프랑코포니 기구(OIF)1978년 11월 10일
중미 통합 기구(SICA)1995년 10월 19일
영국 연방(커먼웰스)1976년 10월 18일
국제 해양법 재판소(ITLOS)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핵무기 금지 사무국1988년 10월 17일
에너지 헌장 조약 사무국2007년 12월 6일
세계 에이즈·결핵·말라리아 퇴치 기금2009년 12월 16일
이베로 아메리카 회의2005년 11월 23일
아랍 연맹(LAS)1950년 11월 1일
몰타 기사단(성 요한 기사단)1994년 8월 24일


3. 1. 지역기구

유럽 연합은 옵서버 자격을 가지면서, 비국가 참가자로는 유일하게 약 50개의 국제 연합 협정에 참여하고 있다. 유럽 연합은 지속 가능한 개발 위원회, 유엔 산림 포럼, 식량 농업 기구에 정식으로 참여하고 있다.[42] 또한 기후 변화에 관한 리우 및 교토 정상 회담과 같은 특정 유엔 정상 회담에 "정식으로 참여"했으며, 정상 회담을 개최하기도 했다. 유럽 연합 대표단은 유엔의 원조 기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42] 2011년 유럽 연합은 총회에서 발언, 제안 및 수정안 제출, 답변권, 의사 진행 발언, 문서 배포 권한 등 강화된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러한 권한은 회원국이 자신을 대신하여 발언할 권한을 부여한 다른 국제 기구에도 개방되었다.[43][44][46]

2011년 5월 유럽 연합에 추가 권한을 부여하는 결의안에서 유엔총회는 회원국을 대신하여 발언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지역 기구에 대해서도 유사한 조치를 채택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46]

기구 또는 실체옵서버 지위 부여일실체 유형
유럽 연합[45]1974년 10월 11일
2011년 5월 10일 (추가 권한)[46]
정부 간 협력주의와 초국가적 연합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는 유일한 옵서버로, 일부 국가와 같은 특성을 부여받는다.
아시아 아프리카 법률 자문 기구(AALCO)1980년 10월 13일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1987년 10월 28일
아프리카 연합(AU)1965년 10월 11일
아프리카 카리브해 태평양 국가(ACP)1981년 10월 15일
아시아 개발 은행(ADB)2002년 11월 19일
카리브 국가 연합(ACS)1998년 10월 15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2006년 12월 4일
안데스 공동체(CAN)1997년 10월 22일
카리브 공동체(CARICOM)1991년 10월 15일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2001년 12월 12일
1차 산품 공통 기금(CFC)2005년 11월 23일
유럽 원자핵 연구 기구(CERN)2012년 12월 14일
아시아 상호 협력 신뢰 구축 회의(CICA)2007년 12월 6일
독립 국가 연합(CIS)1994년 4월 24일
유럽 평의회(COE)1989년 10월 17일
인도양 위원회(COI)2006년 12월 4일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CPLP)1999년 10월 26일
집단 안보 조약 사무국(CSTO)2004년 12월 2일
동아프리카 공동체(EAC)2003년 12월 9일
유라시아 경제 연합(EAEU)2003년 12월 9일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CAS)2000년 12월 12일
경제 협력 기구(ECO)1993년 10월 13일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2004년 12월 2일
유라시아 개발 은행(EDB)2007년 12월 6일
걸프 협력 회의(GCC)2007년 12월 6일
글로벌 녹색 성장 연구소(GGGI)2013년 8월 16일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기구 GUAM(GUAM)2003년 12월 9일
헤이그 국제 사법 회의(HCCH)2005년 11월 23일
국제 형사 재판소(ICC)2004년 9월 13일
국제 상업 회의소(ICC)2016년 12월 21일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 국제 회의(ICGLR)2009년 12월 16일
이민 정책 개발 국제 센터(ICMPD)2002년 11월 19일
국제 형사 경찰 기구(ICPO)1996년 10월 15일
적십자 국제 위원회(ICRC)1990년 10월 16일
미주 개발 은행(IDB)2000년 12월 12일
국제 개발 법 기구(IDLO)2001년 12월 12일
국제 적십자사 적신월사 연맹(IFRC)1994년 10월 19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2009년 10월 20일
국제 이주 기구(IOM)1992년 10월 16일
국제 의회 연맹(IPU)2002년 11월 19일
이슬람 협력 기구(OCI)1975년 10월 10일
국제 프랑코포니 기구(OIF)1978년 11월 10일
중미 통합 기구(SICA)1995년 10월 19일
영국 연방(커먼웰스)1976년 10월 18일
국제 해양법 재판소(ITLOS)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핵무기 금지 사무국1988년 10월 17일
에너지 헌장 조약 사무국2007년 12월 6일
세계 에이즈·결핵·말라리아 퇴치 기금2009년 12월 16일
이베로 아메리카 회의2005년 11월 23일
아랍 연맹(LAS)1950년 11월 1일
몰타 기사단(성 요한 기사단)1994년 8월 24일


3. 2. 국제기구

국제기구옵서버 지위 부여 날짜
아프리카 개발 은행
아프리카 연합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핵무기 금지 기구
안데스 공동체
아랍 연맹
ASEAN+3 거시경제 조사 사무소
아시아-아프리카 법률 자문 기구
아시아 개발 은행
아시아 산림 협력 기구 (AFoCO)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카리브 국가 연합[47]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48]
카리브 공동체 (CARICOM)
CAF –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개발 은행
중앙 아메리카 경제 통합 은행
중앙 아메리카 통합 체제 (SICA)
중앙 아시아 지역 경제 협력 프로그램 (CAREC)
중앙 유럽 구상
집단 안보 조약 기구
상품 공동 기금
독립 국가 연합
영연방 사무국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 공동체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
Conferencia de Ministros de Justicia de los Países Iberoamericanos|이베로-아메리카 국가 법무 장관 회의es[49]
아시아 교류 및 신뢰 구축 회의
유럽 평의회[50]
개발도상 8개국 경제 협력 기구
동아프리카 공동체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경제 협력 기구
에너지 헌장 회의
유라시아 개발 은행
유라시아 경제 연합
Евразийская группа по противодействию легализации преступных доходов и финансированию терроризма|유라시아 자금 세탁 및 테러 자금 조달 방지 그룹ru
유럽 원자력 연구 기구 (CERN)
유럽 공법 기구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원주민 개발 기금
글로벌 건조지대 동맹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 기금
글로벌 녹색 성장 기구
G7+(G7 플러스)
GUAM 민주주의 및 경제 개발 기구
걸프 협력 회의
헤이그 국제 사법 회의
이베로 아메리카 회의
인도양 위원회
인도양 연안 협회
미주 개발 은행
이주 정책 개발 국제 센터
국제 상업 회의소[51]
대호수 지역 국제 회의 (ICGLR)
국제 형사 재판소[52]
국제 형사 경찰 기구 (인터폴)
국제 개발 법률 기구
아랄해를 구제하기 위한 국제 기금 (IFAS)
국제 수로 기구
국제 민주주의 및 선거 지원 연구소
국제 사법 통일 연구소 (UNIDROIT)
국제 대나무 및 등나무 네트워크
국제 이주 기구
국제 프랑스어 기구[53]
국제 재생 에너지 기구[54]
국제 해저 기구
국제 태양광 연맹[55]
국제 해양법 재판소
국제 자연 보전 연맹
Organismo Internacional de Juventud para Iberoamérica|이베로아메리카 국제 청소년 기구es
이슬람 개발 은행 그룹 (IDB)
이탈리아-라틴 아메리카 연구소
라틴 아메리카 경제 시스템 (SELA)
라틴 아메리카 통합 연합
라틴 아메리카 의회
OPEC 국제 개발 기금
경제 협력 개발 기구 (OECD)
아프리카, 카리브해 및 태평양 국가 기구
동 카리브 국가 기구
이슬람 협력 기구
흑해 경제 협력 기구
유럽 안보 협력 기구 (OSCE)
미주 기구 (OAS)
태평양 도서 포럼
지중해 의회
인구 및 개발 파트너
상설 중재 재판소
대호수 지역, 아프리카의 뿔 및 인접 국가의 소형 무기 및 경화기 지역 센터 (RECSA)
상하이 협력 기구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남부 센터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SADC)
지중해 연합 (UfM)
남아메리카 국가 연합 (UNASUR)[56]
평화를 위한 대학교
세계 관세 기구


3. 3. 기타 단체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IFRC), 국제 의회 연맹(IPU),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몰타 기사단 등 여러 단체가 유엔 총회 옵서버 자격을 가지고 있다.[57][58][59][60][61] 이들 다섯 단체는 모두 뉴욕 유엔 본부에 상설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조직 또는 단체옵서버 지위 부여일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1990년 10월 16일[57]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IFRC)1994년 10월 19일[58]
국제 의회 연맹(IPU)2002년 11월 19일[59]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2009년 10월 20일[60]
몰타 기사단1994년 8월 24일[61]


참조

[1] 서적 Rules of Procedure at the UN and at Inter-Governmental Conferenc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12-14
[2] 웹사이트 About Permanent Observers https://www.un.org/e[...] 2018-05-04
[3] 웹사이트 Non-Member States https://www.un.org/e[...]
[4] 문서 The Creation of States in International Law 1979
[5] 웹사이트 Legal Implications of the UN General Assembly Vote to Accord Palestine the Status of Observer State http://www.asil.org/[...]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2012-12-07
[6] 뉴스 Ban sends Palestinian application for UN membership to Security Council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11-09-23
[7] 뉴스 U.N. approves Palestinian 'observer state' bid http://edition.cnn.c[...] CNN 2012-11-30
[8] 웹사이트 UN vote on Palestinian state put off amid lack of support https://www.theguard[...] 2018-10-27
[9] 웹사이트 EU Council Working Group on Public International Law – COJUR http://legal.un.org/[...] United Nations Office of Legal Affairs 2016-04-25
[10] 뉴스 U.N. Adds New Name: "State of Palestine" http://www.thedailyb[...] 2013-01-10
[11] 웹사이트 UN strongly approves Palestinian proposal to raise flag https://apnews.com/g[...] 2024-05-19
[12] 간행물 Participation of the Holy See in the work of the United Nations 2016-04-24
[13] 간행물 Resolution 3210 (XXIX). Invitation to the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https://unispal.un.o[...] 1974-10-14
[14] 간행물 Observer status for the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2016-04-24
[15] 간행물 Observer status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recognized by the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and/or by the League of Arab States 2016-04-24
[16] 간행물 Question of Palestine 2016-04-24
[17] 간행물 Participation of Palestine in the work of the United Nations 2016-04-24
[18] 간행물 Status of Palestine in the United Nations 2016-04-24
[19] 웹사이트 Permanent Observer Mission of Palestine to the United Nations http://www.un.int/wc[...]
[20] 웹사이트 U.N. allows Palestinians to act more like full member in 2019 https://www.reuters.[...] 2019-11-01
[21] 웹사이트 Admission of new Members to the United Nations : resolution /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https://digitallibra[...] United Nations 2024-05-12
[22] 웹사이트 Israel-PLO Recognition-Exchange of Letters between PM Rabin and Chairman Arafat-Sept 9- 1993 http://www.mfa.gov.i[...]
[23] 뉴스 At the threshold of peace Mutual recognition ends 3 decades of strife between Israel and PLO ISRAELI-PLO PEACE TALKS https://www.baltimor[...] 2010-04-06
[24] 서적 Jordan, the United States and the Middle East Peace Process, 1974–199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25] 서적 Isolated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UN observers: Non-member States and Entities https://www.un.org/e[...]
[27] 간행물 Application of Palestine for admission to membership in the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2016-04-16
[28] 뉴스 U.N. Adds New Name: "State of Palestine" http://www.thedailyb[...] 2013-01-10
[29] 간행물 Repertory of Practice http://legal.un.org/[...] UN
[30] 간행물 The World today https://www.un.org/D[...] UN
[31] 웹사이트 NZ PM rules out discussion on Cooks UN membership http://www.radionz.c[...] Radio New Zealand 2016-04-16
[32] 서적 Cross-Strait Rel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aiwan's Participation in IGOs 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Chin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33] 웹사이트 Taiwan's UN Dilemma: To Be or Not To Be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12-06-20
[34] 뉴스 U.N. again throws out Taiwan bid for recognition https://www.reuters.[...] 2008-09-18
[35] 뉴스 Taiwan drops annual U.N. bid as China relations warm https://www.reuters.[...] 2009-02-04
[36] 웹사이트 Final Clauses of Multilateral Treatie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6-04-25
[37] 웹사이트 UN THE WORLD TODAY (PDF) https://www.un.org/D[...] 2015-03-19
[38] 서적 Constructing the nation-st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prescriptive ac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1-05-01
[39] 웹사이트 Status of Palestine at the United Nations Permanent Observer Mission of Palestine to the United Nations 2011-05-01
[4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 2018-05-04
[4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ttp://www.un.org/ga[...] 2010-11-10
[42]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European Union Delegation in New York http://www.europa-eu[...] EU Delegation to the UN 2010-05-30
[43] 뉴스 EU reaches out for new powers at United Nations http://euobserver.co[...] EU Observer 2010-07-15
[44] 뉴스 EU wins new powers at UN, transforming global body http://euobserver.co[...] EU Observer 2011-05-03
[45] 문서 Originally under the designation of [[European Communities]]. The EC formally became the EU on 1 December 2009 and was acknowledged by 2011.
[46] UN document Participation of the European Union in the work of the United Nations 2011-09-10
[47] UN document Observer status for the Association of Caribbean States in the General Assembly 2007-09-01
[48]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in the General Assembly : resolution /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https://digitallibra[...] 2006-12-18
[49]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Conference of Ministers of Justice of the Ibero-American Countries in the General Assembly : resolution /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https://digitallibra[...] 2016-12-21
[50] 웹사이트 A/RES/44/6. Observer status for the Council of Europe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d[...] 1989-10-17
[51]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e[...] 2017-08-20
[52] 웹사이트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Nations and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www.undemocra[...] 2013-10-11
[53] UN document 2010-09-23
[54] UN document 2023-10-19
[55] 뉴스 Observer Status granted to International Solar Alliance https://www.thehindu[...] 2021-12-10
[56] 웹사이트 Documentos oficiales de las Naciones Unidas 2018-05-04
[57]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e[...] 2015-10-31
[58]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e[...] 2017-02-26
[59]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Inter-Parliamentary Union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e[...] 2017-09-07
[60]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e[...] 2017-02-26
[61] 웹사이트 Observer status for the Sovereign Military Order of Malta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digitallibra[...]
[62] 웹사이트 UNGA Resolution A/RES/31/152 http://daccess-dds-n[...] 2011-07-28
[63] 웹사이트 A/RES/3280(XXIX) https://undocs.org/e[...]
[64] 웹사이트 Proceedings of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Sixth Session, vol. I, Report and Annexes https://unctad.org/s[...]
[65] 문서 国家承認をしていない日本国外務省は自治政府の呼称を用い[https://www.mofa.go.jp/mofaj/area/plo/]、日本語報道の多くもこれにならっている
[66] 웹사이트 パレスチナ「国家」格上げ=国連総会が決議採択-米・イスラエル反対、日本は賛成 http://www.jiji.com/[...] 2012-11-30
[67] 문서 1976年に北ベトナム(ベトナム民主共和国)は南ベトナム(南ベトナム共和国)を吸収統一し、ベトナム(ベトナム社会主義共和国)として発展的に消滅した。
[68] 문서 1991年の[[독일 재통일]]までは[[서독]]だった。
[69] 문서 1976年に北ベトナム(ベトナム民主共和国)は南ベトナム(南ベトナム共和国)を吸収統一し、ベトナム(ベトナム社会主義共和国)として発展的に消滅した。
[70] 문서 1955年までは[[베트남 국]]、それ以降は[[베트남 공화국]]だった。
[71] 문서 ベトナム共和国消滅後は[[南ベトナム共和国]]が南ベトナムを統治していたが、ベトナム共和国が有する国連オブザーバー資格は継承しなか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